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
운영체제의 개요 1 운영체제의 정의 소프트웨어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도 '운영체제'란 단어는 한 번쯤 들어 보았을 것이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줄여서 'OS'라고도 하며, 컴퓨터나 노트북 전원을 켜면 가장 먼저 만나는 소프트웨어다. 일상생활 속 운영체제 운영체제에는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유닉스 외에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윈도우, 맥 OS, 리눅스 등이 있다. 스마트폰에서도 운영체제가 있다. 이러한 운영체제를 모바일 운영체제라고 하는데, 애플의 iOS와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대표적이다. 운영체제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MP3 플레이어, PMP(Personal Media Player ), 내비게이션, 스마트 시계, 스마트 TV에도 존재한다. 이처럼 CPU 성능도 낮고 메..
컴퓨터 시스템의 개괄 컴퓨터 시스템의 개괄 컴퓨터는 크게 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로 구성된다.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 장치고,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를 작동하려고 만든 알고리즘을 프로그램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1. 하드웨어의 구성 컴퓨터 하드웨어는 CPU, 메인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저장 장치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컴퓨터로 하는 대부분의 작업은 CPU와 메인메모리는 필수 장치로 분류하고, 그 외 장치는 주변 장치로 분류한다. ◼︎ CPU CPU(중앙 처리 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실행하는 장치로, 인간의 두뇌에 해당한다. ◼︎ 메인메모리 메인메모리는 작업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로, CPU에 데이터를 넘겨주고 처리한 데이터를 다시 저장..
컴퓨터 단위 1. 용량 단위 비트, 바이트, 워드 비트(bit)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최소 단위다. 컴퓨터는 2진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1 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수는 0과 1, 단 2개다. 1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숫자가 너무 작아 좀 더 큰 묶음이 필요하다. 샤프심이나 면봉을 팔 때 여러 개를 하나의 박스에 담아 파는 것과 같다. 바이트(byte)는 비트 8개를 묶어 사용하는 단위다. 즉, 1바이트는 8비트다.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인 애플 II는 한 번에 8비트(1바이트)를 처리하는 CPU가 등장했고, 현재는 64비트 CPU가 대중화되었다. 수조에 물을 채운다고 가정해 보자. 작은 컵으로 물을 채우는 것보다 큰 컵으로 물을 채우는 것이 훨씬 빠르다. 마찬가지로 64비트 CPU가 32비트 CPU보..
컴퓨터의 역사 1-2 4. 다중 사용자 시스템[1960년대 후반] 1960년 후반 컴퓨터 크기는 작아지고 계산 능력은 높아졌다. 하지만 컴퓨터는 여전히 고가였고, 허가받은 몇몇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었다. 그래서 값비싼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를 다중 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 기술이라고 한다. 다중 프로그래밍 기술은 하나의 CPU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실행한다.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하는 일괄 처리 시스템에 비하여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시스템 효율이 높다. 한 컴퓨터에서 음악을 들으면 문서 편집도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중 프로그래밍 기술은 규모가 큰 식당에 비유할 수 있다. 큰 식당에서 요..
컴퓨터의 역사 1-1 1. 컴퓨터 탄생[1940년대] 과거 미사일은 지금처럼 센서나 GPS로 목표물을 알아서 찾아가지 못했다. 한번 쏘면 한 방향으로만 움직였다. 정확한 발사각과 방향을 맞추어 쏘지 안흥면 미사일이 엉뚱한 곳에 떨어졌다. 컴퓨터가 탄생하기 전에는 발사각과 방향 계산을 사람이 손으로 직접 했다. 사람이 하는 계산은 느리고 종종 틀렸기 때문에 인간 능력을 뛰어넘는 기계가 필요했다. 컴퓨터는 미사일 발사각을 계산하려고 만들었다. 최초의 컴퓨터인 에니악은 펜실베이니아대학의 모클리(J. W. Mauchly)와 에커트(J. P. Eckert) 교수가 만들었다. 에니악은 규모가 30톤인 거대한 계산기로 사람이 주판으로 7시간이나 걸렸던 미사일 탄도 계산을 단 3초 만에 끝냈다,. 날씨나 바람의 미세한 영향을 미리 프로그래..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 1. 프로그래밍의 개념 컴퓨터가 일반 계산기와 다른 점은 프로그래밍(programming)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프로그래밍은 컴퓨터에 작업을 지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작업을 지시할 때는 언어를 사용한다. 그릇을 옮겨 달라고 하든지 문을 닫아 달라고 부탁하면 상대방이 반응한다. 그러나 컴퓨터는 인간이 말하는 언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작업과 일반적인 작업을 비교해 보자. 어느 식당에서 오늘 하루 판매한 음식 값을 계산한다고 하자. 가장 단순한 방식은 오늘 하루 판매한 음식 개수와 손님이 지불한 돈을 노트에 적는 것이다. 그러고는 영업을 종료한 후 계산기로 모든 음식 값을 더한다. 그러면 하루 판매한 음식을 계산할 수 있다.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음식을 팔 때마다 그 가격을 ..
소프트웨어 1. 소프트웨어의 필요성 인간이 어떤 행위를 할 때 신체만으로는 부족하다. 신체를 움직이는 여러 가지 규칙과 절차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누군가에게 정보를 전달하려면 언어를 배워야 하고, 일을 하거나 사회생활을 할 때도 여러 가지 규칙과 절차가 필요하다. 컴퓨터도 마찬가지다. 하드웨어만으로는 작동하지 않으며,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특정 목적을 달성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모아 놓은 집합이다. 2. 소프트웨어의 종류 소프트웨어는 응용 소프트웨어와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나눈다. 응용 소프트웨어 특정한 작업을 할 때는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따로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문서를 작성할 때는 아래아한글이나 MS워드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인터넷을 할 때는 ..
하드웨어(CPU, 입력 장치) 1.CPU CPU(Centeal Processing Unit)는 주어진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계산하고 각종 주변 장치에 데이터의 입출력 명령을 내리는 장치다. 컴퓨터 내에서 대부분의 작업을 처리하기 때문에 CPU가 컴퓨터 성능을 좌우한다. 많이 사용하는 CPU 제품으로는 인텔과 AMD 제품이 있다. CPU는 컴퓨터 중심부에서 데이터를 처리(processing) 하기 때문에 프로세서(processor)라고도 한다. 컴퓨터 프로세서는 CPU 외에 GPU와 AP가 있다. GPU(Grephical processing Unit)는 그래픽 작업만 전문으로 하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다. 3D 게임이나 동영상의 발달로 그래픽과 관련한 계산 작업이 많아졌는데, CPU 하나로 기본 계산 작업과 데이터 관리, 대용량 그래픽..